NAVER포탈에서 네이버페이와 포인트를 사용하고 계신다면 좋은 팁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현금화로 정말 똑똑하게 쓰시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제가 직접 써보고 알려드리니 믿고 보세요~ 여러분도 쉽게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나의 소비패턴은?
포인트 쌓기 vs 즉시 할인 이 둘 중에 여러분은 어떤 게 좋으신가요?
주어진 혜택을 똑 부러지게 사용하기 전에 자신의 소비패턴을 먼저 파악하는 게 우선입니다.
저는 원래 쿠팡 로켓와우를 주로 이용했었습니다. 싸고 배달도 빨리 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사람들이 이용을 하죠. 그러나 프리미엄인 로켓와우를 사용할 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포인트가 쌓이기 어렵다는 것이었어요.
제 소비 패턴은 즉시 할인을 250원, 500원 쥐꼬리만큼 받는 것보다, 차곡차곡 쌓아두었다가 내가 쓰고 싶을 때 5천 원, 1만 원씩 쓰는 것에 더 쾌락을 느끼고 구매할 때 만족감이 높은 것을 깨달았어요. 그래서 네이버 쇼핑을 이용하게 되었답니다.
혹시 여러분 중에 저와 같이 생각하신다면 아래 글로 쭉 따라오세요~! 꿀팁입니다:)
2. 혜택 많은 카드 선택하기

위에 사진처럼 네이버페이 혜택 탭으로 들어가면 제휴 맺은 카드들이 있습니다. 그중에 카드 사용만큼 포인트로 돌려주는 혜택 카드들이 있습니다. 이 카드는 추후 결제 창에서 '간편 결제 카드'로 등록을 해두면 이득을 보실 수 있어요.
저는 이중에 삼성카드를 골랐는데요. 왜냐하면 삼성카드를 6개월간 사용한 이력이 없었거든요.
맞아요~! 혜택을 받으시려면 해당 브랜드 카드를 6개월간 사용한 이력이 없어야 합니다.
일단 발급을 받으시면 생활비를 해당 카드로 쓰시고, 익월에 적게는 14만 원부터 많게는 18만 원까지 포인트를 적립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그 포인트는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3. 플러스 멤버십 무료 가입
플러스 멤버십을 가입하면 구매 시 5%까지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첫 한 달간 무료로 가입이 가능 하니 꼭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연간 이용권(46,800)을 구독했는데요. 월 금액(4,900)으로 계산을 때 더 저렴하고 카드 발급 시 할인해주는 이벤트가 있었어요. 만일 이 비용도 아끼시려거든 가족 중에 플러스를 이용 중인 분이 초대하면, 똑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4. 비슷한 판매금액이지만 포인트는 다르다?!

구매 시 똑같은 가격이라도 판매자마다 네이버포인트를 다르게 주곤 합니다. 그래서 이 부분을 꼭 비교하셔야 합니다.
제품과 가격 차이가 약간 있더라도 최대 추가 적립이 많이 차이가 나죠?
개인마다 선호하는 브랜드가 있기 마련이지만 무엇을 살까 고민을 할 때가 많은데 이게 확실하면 바로 선택하게 됩니다.
5. 리뷰는 무조건 사진으로 !
리뷰를 썼을 때 주는 포인트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같이 넣으면 훨씬 많이 적립이 됩니다.
이게 귀찮으실 수 있는데 뭐 엄청나게 잘 찍을 필요도 없고 물건을 받은 즉시 찍고 저장해 두었다가 리뷰를 쓰는 습관을 기른다면 티끌모아 태산이 됩니다. 50원씩 쌓이는 게 아주 쏠쏠하다고요:)
6. 현금화 사용하기! - 네이버 예약으로 포장/배달시키기

이제 이렇게 차곡차곡 쌓은 네이버포인트를 현금처럼 사용하실 때가 왔습니다. 이건 제가 이삭토스트를 3,300원주고 포인트로 사먹은 건 입니다. 근데 또 적립 저만큼되었어요~!
제가 정말 애용하고 이거 정말 대박이다!라고 무릎을 쳤던 부분입니다. 요즘 들어 NAVER에서 주문 예약 홍보를 하고 있는데요. 한번 써보고 이거다 싶었죠. 포인트로 100% 사용도 가능하고 또 무려 또 1% 기본, 5% 플러스 적립이 되는 서비스 입니다:)
쇼핑을 일부러 많이 하지만 않는다면 이것은 정말 선순환입니다.
내가 사야 하는 것을 꼭 살 때 포인트를 쌓는 습관을 기르고 5천 원 1만 원씩 쌓였을 때 네이버페이를 현금처럼 쓰는 재미 꼭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경제관련 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르면 손해 보는 연말정산 절세 방법- 인적공제 부양가족 공제 편 !! (0) | 2023.01.17 |
---|---|
해외여행시 여행자보험 가입해야 할까? TIP 간단 체크하기! (0) | 2023.01.04 |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및 학원 사용처 알아보자 (0) | 2022.12.08 |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추천 및 잔액조회 쉽게 하는 법 (0) | 2022.12.05 |
연금계좌(연금저축,IRP) 세액공제 미리 준비해서 받는 법. 13월의 월급 받는 tip.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