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마음 view

불안, 완벽주의 쉽게 알고 극복하는 법 -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성장기로 부터

by 일상마따 2022. 11. 23.
충분히 해낼 수 있는 것도
자신의 자질을 발휘하지 못할 때가 있어요.
그건 내가 실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무엇에 사로잡혀 나를 돌아보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요?


일상에서 따라오는 마음에 따라 글을 적는
일상마따 입니다.

22.11.23.
오늘의 저는 어떤 감정을 발견했는지 되돌아 보았어요.
하루에도 몇번이고 블로그를 들락날락..
사실 방문자 기록에 반은 저 인듯 합니다.

불안, 완벽주의


이러한 들락날락 행동은 왜 하고 있는건지 생각해보았어요.
내 마음 속 감정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생각으로 부터 시작하여 내면를 들여다 보아야 합니다.
처음에는 잘 안되도 연습하면 안 되는 건 없더라고요.

생각: 빨리 노출을 시켜서 유입시켜야지


아직은 당연히 유입자가 늘기 어렵지 암요암요.. 하면서 글을 하루에 하나씩 써보자 했는데
차근히 잘 하다가도 ‘왜 노출이 안되는거지??’라는 생각에 사로잡혔어요.
그래서 노출을 위해 구글, 네이버, bing 연결이 잘 못 되었나? 하며 왠종일 들여다보곤 했지요.

물론 얻은 점도 있어요. 오류를 하나 발견하긴 했거든요.
그렇지만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건 아니었어요.

이러한 생각이 어떤 감정을 불러 일으켰을까요?
아님 어떤 감정 때문에 이러한 생각과 행동을 불러 일으켰을까요?
선공후공은 정하기 어려워요. 그리고 사실 그건 그다지 중요치 않죠! 어떤 감정인지가 중요해요.

감정: 불안함, 초조함


제가 느낀 감정을 가만히 들여다보니 불안함과 초조함이었어요.
불안과 초조함 때문에 차분히 하나씩 글을 쓰기보다는
유입을 시켜야 한다는 것에 몰입되어 지금의 나에게 높은 목표를 설정 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불안... 높은 목표…
일상에서 따라오는 마음을 따라 글을 쓰는 일상마따는 여기서 완벽주의에 대해 공부해보고 싶었습니다.

불안, 초조
불안, 초조

불안과 초조함을 느끼게 하는
‘완벽주의’


완벽주의의 특징은 무슨 일을 하든지 항상 완벽하게 해내려는 정신 상태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갖습니다.

  • 긍정적인 기능: 남들보다 훌륭하게 일을 해내려 하기에 무사히 마칠 경우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의 성취가 있습니다.
  • 역기능적인 기능: 완벽을 추구하려는 과도한 목표로 인해 압박이 증가하고 소진, 불안, 초조 등이 나타납니다.

 

완벽주의의 핵심 감정은 불안이기 때문에 완벽주의를 알아보았는데요.
과도한 목표를 설정했다고 해서 완벽주의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완벽주의 대부분은 '남으로부터의 평가'로 부터 자신을 더욱 완벽히 하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예를들면, '내가 이번에 실수하면 비난을 받을거야.', '못해내면 나를 안 좋게 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오는 불안이라고 할 수 있죠.

불안, 초조 해결방안은?!
1. 과도한 목표가 무엇인지 발견한다.

제 이야기로 풀어보자면 과도한 목표는 '유입자가 늘어나야 돼' 였습니다.
글이 10개 남짓인데 어떻게 유입자가 10명이상이 되길 바랐을까요? 허허.

돌이켜 이성적으로 생각해보면 과도하게 높은 바람이었습니다. 나에게 불안과 초조함을 일으킨 과한 목표를 발견하는 것이 해결방안에 도움이 될 겁니다.

불안, 초조 해결방안은?!
2. 실현가능한 목표를 세운다.

실현가능한 목표는 1일 1포스팅 입니다.
어쩌면 가장 기본적인 방법을 두고 쉽고 빠르게 가고 싶어했던 것 같아요. 때문에 이런 불안함과 초조함을 불러 일으켰는지 모르겠네요.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해 나가며 나의 만족감을 조금씩 채워나간다면 자기효능감이 생겨
점차 불안한 감정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현가능한 목표
실현가능한 목표

급할 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와닿은 오늘.
여러분도 실현가능한 목표부터 차근히 해내며 만족함 +1을 챙겨가세요:)

 

댓글